AJU Business Daily

채권형액티브ETF 92%가패시브인‘무늬만액티브’

증권가“분류기준새로정해야투­자자들상품선택에도도­움”

- 최연재기자ch022­1@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의 인기가커지고 있는 가운데, 상장된 액티브 상품 중 92%가 채권형으로 사실상 패시브 상품인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는최근 인기를 끄는 채권형 액티브 상품은 이름만 액티브일 뿐 운용 방식은 패시브 상품과 동일해 상관계수 완화 등분류 기준을 새로 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9일한국거래소에따­르면이날기준최근 국내에 상장된 액티브 ETF는 총198개로 이중 채권형이 183개인 것으로집계됐다.

ETF AUM 전체로 놓고봐도 1위가삼성자산운용의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로 이날 기준 8조2020억원을기­록했다. 이어 4위는 KODEX KOFR금리액티브(5조3420억원), 5위 TIGER KOFR금리액티브(3조7270억원), 8위

KODEX종합채권액­티브(2조8110억원), 9위 KODEX 종합채권 액티브(2조5340억원) 등 10위권 중액티브이름이붙은E­TF 상품이 AUM에서도 높은 수치를보이고있다.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인기가높아지고 있다. 순자산가치(AUM)는 전월 대비 16% 이상 증가했고 신규 상장종목 수도 패시브 상품 수를앞서고있다. 금리인하에대한 기대감으로 개인투자자들이채권형­상품에몰려들자국내 주요 운용사들은 채권형 ETF를 집중적으로 출시했다. 올해 국내에 올해국내에신규 상장된 34개 상품중액티브형은 19개며 전체 중 56%를 차지한다. 지난달 상장된 9 종목 중 6종목이채권형액티브­였다.

다만 해당 상품은 이름과 달리사실상 패시브 상품으로 분류해야 한다는지적이 나온다. 구조상 채권형 상품은패시브로구현될­수없기때문이다.

거래소 규정에 따라 패시브는 상관계수 90%, 액티브는 70%를 따른다. 주식형은 변동성이높아 리밸런싱을 통해곧바로 상관계수를 맞출 수 있지만 채권형은 변동성이 낮아 바로 비교지수(벤치마크)와 상관계수 기준을 맞출수없다.

이때문에 대부분 채권형 상품은 비교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내는 액티브형으로 나오고 있다. 다만 이름과 상관계수만 액티브일 뿐 운용 방식은 패시브와동일하다고업­계에서는설명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출시되고 있는액티브형 상품 중 대다수는 금리형, 채권형 상품으로 사실상 패시브”라면서“채권형은 선물을 비롯해 모든 채권을다 담을 수 없어완전한 패시브 방식으로구현해내기가­힘들다”고 말했다.

거래소가ETF 통계를단순나열에서좀­더구체화할 필요가있는 의견도 나온다. 해당 관계자는 “전체 집계에서채권형은 기술적인이유 때문에액티브로쓴다”면서 “이를 감안해채권형집계를따­로 하는 것이 투자자들도 참고하는데도움이될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 ETF 집계는올해로 21년째다.이제는 집계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나온다. ETF본고장인미국에­서는 모든 ETF를 단순 나열식이아닌주식형, 채권형, 액티브 등더세분하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구조적으로 상관계수 완화도 ETF운용과 수익률 상승에 도움이 된다는주장도 나온다. 해당 관계자는 “미국에는상관계수추종­이아예없다”면서“거래소도 상관계수 완화 등을 고려해 더다양한순수액티브상­품이나올수있도록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해 거래소 관계자는 “채권형액티브상품수가­더많아주식형액티브보­다 더두드러져보일 수는 있다”며 “채권형은 사실상 패시브와 차이가없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