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혁신AI기술로수익창­출”…국내이통사들,글로벌박차

SKT,통신사연합‘글로벌텔코’로기술협력통한‘게임체인저’자신KT, UAM교통관리시스템­소개‘M360 APAC서울’주관하기로

- 바르셀로나(스페인)=장하은기자lamen­910@

SK텔레콤(SKT)·KT 등 국내이동통신사들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4에서 인공지능(AI)을 미래 먹거리가 아닌 실질적인 수익원으로 삼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통신서비스 전역에 혁신적인 AI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양사 모두 국내를 벗어나 글로벌 통신사로 거듭나겠다는 포석이다.

◆유영상 “서비스업 글로벌 강자될 것… GTAA로 시작”

유영상 SKT 대표는 26일(현지시간)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열고 “한국 서비스 기업이글로벌스케일(규모)을 가진 적이 없다”며 “우리나라가 제조업에서는 세계적으로 활약하는데 왜 서비스에서는 그렇지 못한지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텔코 초거대언어모델(LLM) 구축 필요성을 강조해온 유대표는 같은날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 2024에서공개한 통신사 AI 연합체인 ‘글로벌텔코 AI 얼라이언스(GTAA)’가 글로벌스케일로 가는 지름길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기대감을 보였다.

SKT는 이날 GTAA 창립총회를 열고 독일 도이치텔레콤, 아랍에미리트(UAE) 이앤그룹, 싱가포르 싱텔그룹,일본 소프트뱅크 등과 AI 기술 공동개발과 사업 협력을 수행할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SKT 등 이들 5개 참여사는 통신산업특화 AI 초거대언어모델(텔코 LLM) 공동 개발에나선다.

유 대표는 이에 대해 “지금은 한 산업 분야에 특화한 LLM이 해당 분야변화를 이끌어가는 시대”라며 “글로벌 통신사들이 텔코 LLM 등 AI 분야협력을 통해 시장 변화를 주도하는 게임 체인저가 되려는 것”이라고 합작법인 설립 의미를 설명했다. AI는 마이크로소프트(오픈AI)·구글·메타 등 글로벌 빅테크가 주도하고 있지만 텔코 AI주도권만큼은 통신사가 가져가겠다는것이다.

그는 GTAA 합작법인의 LLM이 연내 자사뿐 아니라 GTAA 멤버사들이사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할 것으로 전망했다. SKT는 이번 합작법인을시작으로 전 세계 통신사가 모여 다양한 AI 사업을 진행할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유 대표는 기자간담회직전 20여 개글로벌 통신사들을 초청해 통신사 특화 AI LLM 공동 개발 과정을 설명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협의체‘글로벌 텔코 AI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개최했다. 기대했던 것보다 더많은 통신사가 참여하겠다는 의지를보인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KT·LG유플러스 등 국내 이통사가 참여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보인다. GTAA 멤버사들도 한국의 다른 이통사를 추가로 받을 생각이없는상태다. 협의체 참여를 이끌 동기 부여측면에서 1국 1통신사만 가입하는 것이나을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유 대표는 AI 피라미드 전략을 내세우며 AI 컴퍼니전환 의지를 보였다. 유대표는 “1년 전에 LLM 매개변수 크기를 따졌다면, 지금은 활용 방안과 어떤비즈니스모델(BM)을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텔코LLM 같은 버티컬(특화형) LLM 발전이하나의기업을 넘어산업전체에 AI전환을 불러일으키고 수익화하는 데

중요한축이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섭號

KT “AI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 확보”

KT는 올해 MWC 행사장에 ‘미래를만드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 KT’를 주제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과 AI 혁신기술 소개하는 전시관을 꾸렸다. AI를활용해 갑작스러운 비상 상황에서도도심항공교­통(UAM)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게 지원하는 ‘UAM 교통관리시스템’을 소개해 큰 주목을 받았다.특히글로벌 전시중 처음으로 ‘소버린’ AI 반도체를 공개했다. 두 제품 모두LLM 연산에 특화됐다. 통신 서비스·클라우드 서버 등에 접목해 본격적인수익창출을노­릴 계획이다.

MWC 주최 단체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와 손잡고 글로벌 통신사로 탈바꿈하는 것도 꿈꾼다. KT는 AI 등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을확보해 유럽·남미 등 글로벌 통신업계를주도할 계획이다.

KT는 26일 MWC 전시장에서GSMA와 내년 ‘모바일360 아시아태평양(M360 APAC) 서울)’ 개최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KT는 3년 연속이행사를주최하게 됐다.

M360은 GSAMA가 2013년부터 매년개최하는 행사다. 모바일산업현안에 대해 유럽·남미·아프리카·아시아 등

지역별 주제를 선정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어젠다를 논의한다. 콘퍼런스뿐 아니라 참여 기업들의 소규모 전시도 마련해 최신 모바일 기술과 동향을 살필 수 있다. KT는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개최된 서울 행사에서 호스트스폰서를 맡아 행사를 성공적으로 견인했다. 행사에는 37개국 310개 업체에서약 1700명이 참여했다.

오는 10월 열리는 올해 대회는 ‘AI를 통한 디지털 국가 발전’을 주제로진행한다. 국내외 주요 ICT 기업 경영진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학계 주요 인사가참석해 산업별 디지털전환(DX)·생성형 인공지능(Gen AI)·6세대 이동통신(6G) 등 디지털 시대 미래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영섭 KT 대표는 “M360 APAC을서울에서 다시 개최하게 돼 기쁘다”며“올해 행사도 성공적으로 이끌어 AI등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 확보를 위해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KT는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 파트너’로서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디지털 시장 패러다임을 바꾸고, 통신사업자들 역량과 시장 지배력을 높일 다양한 어젠다를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연합뉴스] ?? MWC 2024 전시장에서 류제명 과기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 KT 김영섭 대표, GSMA 마츠 그란리드 사무총장이 M360 APAC 서울 개최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연합뉴스] MWC 2024 전시장에서 류제명 과기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 KT 김영섭 대표, GSMA 마츠 그란리드 사무총장이 M360 APAC 서울 개최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 [연합뉴스]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MWC 2024 전시장에서 CEO 기자설명회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MWC 2024 전시장에서 CEO 기자설명회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