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왜3년유예?…전문가들“전세계약갱신청구권과­충돌우려”

9부능선넘은‘실거주의무’임대차갱신2년과기간­엇갈려3년뒤원활한자­금조달물음표“매도전까지실거주의무­로변경2년·4년으로유예기간바꿔­야”

- 김윤섭·김슬기기자angks­678@

29일 국회 본회의 통과를 남겨두긴했지만분양가­상한제적용아파트에대­한 ‘실거주 의무 폐지’가 우여곡절끝에3년유예­로마무리될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선 고금리 상황에서 실수요자 자금조달에숨통이트일­수있다는반응이 나온다. 또 전세 매물이 나올 수 있게 되면서 임대차 시장 안정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가공언했던 실거주 의무 ‘폐지’가 아닌유예로가닥이잡힌­데다계약갱신청구권등 분쟁이일 여지도 남아 있어미봉책에불과하다­는지적도나온다.

27일아주경제가부동­산전문가들에게 ‘실거주 의무 3년 유예’에 대한 평가를 청취한 결과 다수 전문가들은 최악상황을피했다고입­을모았다.

여야가 3년유예합의로가닥을­잡고지난주 국토위 소위, 이날 전체회의를무사히통과­하긴했지만 합의전까지1년 넘게 표류하면서 정부 발표만 믿고청약한 수분양자들을 불안케 했다. 실거주의무를위반하면­1년이하징역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지고,최악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분양가 수준으로 집을 되팔아야 하기때문이다.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경인여대 교수) 회장은 “정부의정책엇박자로인­해 정부를 믿고 분양을 받은 사람들은 상당히 큰 혼란에 빠질 수 있었다”면서“큰 혼란을막았다는 점에서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김효선NH농협은행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분양권 전매제한은 사실실거주 의무 폐지없이는 의미가 없는 제도이고, 당장 분양받은 사람들은잔금마련일정­에도차질이생기는상황­이라선의의피해자를막­기위해절충안이필요했­다”며 “이번 개정안 통과로 얼어붙었던분양권시장­도거래가본격화하면서­숨통이트일수있게됐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40주 연속 상승하는 등 전세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적용을 통해입주 예정 물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세를 통해자금 문제를 해결하려는 수분양자들이 물량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송파구 헬리오시티입주가 본격화한 2019년 1분기에 서울 강남권 일대 전셋값이 하락했던 일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실제 작년 11월 첫째 주 0.21%에 달한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이달 셋째 주-0.01%로 하락전환됐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올림픽파크포레온 같은대단지는 전세매물이많아 전세물량 공급과 가격안정에역할을할 것”이라며 “타 지역에서해당 지역으로 이사를 오게 되면서 시장에 나오는 물량도 생기는 만큼 시장에큰영향을미칠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장기적으로시장혼­선은불가피하다는의견­도여전하다.실거주의무가완전히 폐지된 것이아닌 데다 전세 계약이2년 단위로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하면3년이후에다­시입주문제가불거질여­지가있다는것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3년 유예 조치가 현시점에서 입주자들에게는 긍정적결과지만 결국은‘미봉책’이라는 한계가 있다”며 “특수사유로 실거주가 불가능하거나 자금이부족해 임대를 놔야 한다면 모두 3년안에해결하기어렵­기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현재정부 정책방향대로실거주 의무를 폐지하거나 해당 주택을매도하기전까지­실거주 의무를충족하도록 하는 것이더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3년 유예안이 전세계약갱신청구권(2+2년)과 충돌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집주인이 입주 시점에 임차인과 전세계약을 맺었는데2년 뒤임차인이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려 하면 마찰이생길수있다”며“모호한기간이아니라계­약갱신청구권에 맞춰 2년이든 4년이든 확실하게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예림 법무법인 심목 대표 변호사도 “임대차보호법에 적용되는 기간과 3년이 맞지않아 임대인으로서는 2년을(임차인에게) 주거나아니면아예3년­을주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며 “또한 향후에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도임차인과임대인사­이에갱신여부를두고 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