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박성욱SK하이닉스부­회장,커지는중국행보

中국제수입박람회참석·…매출비중커진중화권직­접챙겨단독부스마련주­요제품소개… 4대그룹전자계열사중­유일

- 유진희기자saden­d@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사진)이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 직접 참석해 현지 거래선을 강화하고 임직원들의사기를진작­시켰다.

이번 행사는 중국의 개혁·개방 40주년을 맞아 시진핑 국가 주석이 자국경제활성화와 시장개방 등을 목적으로 중점 추진한 행사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국내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가운데, 박 부회장은 현 시국의 돌파구를현지 당국·업계와의 스킨십 강화등을통해찾으려는­것으로풀이된다.

◆4대그룹전자계열사가­운데유일하게참가

11일 업계에 따르면박부회장이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엿새간상하이에서 열린 ‘제1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의 SK하이닉스 부스를 찾아 임직원들을격려한뒤주­요전시관을둘러본것 으로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 등 자사의 주요 제품과기술을소개하는­부스를마련해행사 마지막날까지 운영했다. 국내 4대그룹 전자 계열사 가운데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부스­를차린곳은 SK하이닉스가유일하­다.

박 부회장은 개막일(5일)에 참석해6일까지 이틀간 현지에 머물며 현지당국과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며 바쁜일정을보낸것으로 전해졌다. 그가연말인사등을앞두­고바쁜일정을쪼개이번 행사를 찾은 배경으로는 점점 더커지는 중국 시장의 중요성이 꼽히고있다.

실제 올해 상반기 SK하이닉스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38.6%(7조3721억원)에 이른다. 지난 해까지 SK하이닉스 전체 매출에서 그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미국이었으나,올해처음으로중국이그­자리를꿰찬것이다. 대만까지 포함하면 전체 매출의절반가량인약 9조원이중화권에서발­생하는것으로전해졌다.

특히 지난 7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중국 장쑤성 우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이 내년 완공되면, 중국시장의중요성이더­욱커질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현재국­내에있는일부파운드리­설비를중국에옮기고 있으며, 이를통해현지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파운드리 공장을중국에세우는것­은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현지에서 관련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SK하이닉스 전체 매출에서 파운드리 부문의 매출이 1%대에도못 미치지만 공장의 완공으로 사업이본격화되면 그 비중이 빠르게 증가할것”이라고 내다봤다.

◆생산기지로서역할도더­욱강화

또한 생산기지로서의 역할도 더욱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SK하이닉스의 전체 D램 생산량 가운데 절반가량을 우시 공장에서 담당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곳에추가생산라 인을 만들고 있으며 연내 완공할 예정이다. 또한지난해말에는중국­충칭에2700억원을 들여 반도체 후(後)공정공장을증설하기로­했다.

업계 관계자는 “저무는 반도체 호황,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 심화, 중국의반도체굴기등현­재반도체업계는 쉽지 않은 상황에 당면해 있다”며“반도체를 주력으로하는 SK하이닉스의 박 부회장이 4대그룹 전자 계열사가운데 유일하게 이번 행사에 부스를차리고직접챙긴­이유”라고 말했다.

한편 제1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는 150개 국가를 비롯해 지역 관계자들과 국제기구 책임자, 3600개 이상의 기업도 참여했다. 초청바이어는 중국 성·시 및 해외에서 15만명, 내방객은 바이어를 포함해 약 45만명이었다.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 첨단 지능형 장비 등 약 578억3000만 달러(약 65조3000억원) 규모의계약이성사됐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